I put this paper on my blog for sharing it which I was involved in as a corresponding author.

It is not a great job, hope it just can help you in some way though.


[Energy Policy 94(2016) 150-156]


Estimating willingness to pay for renewable energy in South Korea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1-s2.0-S0301421516301525-main.pdf


'Graduate School > +Econom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conometric Software Links  (0) 2014.08.15
The Economics of Ecosystems and Biodiversity  (0) 2014.08.01
블로그 이미지

Ddungi

언어 배우기가 취미인 뚱이 지금까지 할 수 있는 대략 6개 Here's the video to introduce myself. https://www.youtube.com/channel/UCb5bAyPokVJ-rkIIDjmt0Tg

,

 

 


 

대학원을 졸업했지만 작년에 받은 인건비를 세금환급 받기 위해

홈택스(www.hometax.go.kr) 방문

 

이번에 홈택스 홈페이지가 개편되어서 조금 헤맸으므로

블로그 방문객들에게는 도움을 주고자.

 

1. 홈페이지가 열리면 정가운데에 위치한 신고/납부 를 누름.

 

2. 신고납부 페이지에서 종합소득세 를 누름. (로그인하라고 나오면 회원가입 및 로그인을 완료함)

 

3. 일반신고 정기신고 작성 을 누름.

 

4. 신고서 불러오기 를 누르고 나면 남은 빈칸 입력. 저장후 다음 이동

 

5.  헉...벌써 제출해버려서 다음부터 입력이 안되네...

다음부터는 쉬워요.

좌측 네모 순서에 해당하는

03. 에서 자동으로 인식하고 나서 해당 세금납부내역을 모두 불러오기 때문에 전부 체크하고

04. 한 번더 확인(소득공제 명세서)

05. 06. 07. 에서 세금 납부/환급에 해당하는 사항(기부금 및 조정명세서, 세액공제, 감면 사항이 있으면 모조리 입력)

(대부분의 대학원생이라면 부모님이 해당 사항을 전년 연말소득정산에서 입력했을 가능성이 높음. 중복 입력은 안되므로)

그냥 패스하면 되요.

08. 09.  가산명세서/기납부세액명세서 에는 이제껏 입력한 사항이 모두 나옵니다.

10.은 세액계산으로 총액이 나오고

11. 환급받을 계좌를 입력하고 최종확인 후 신고서제출을 누르면 됩니다.     

제출이 완료되고 세금환급을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신고기한내 납부할 새액에 - 금액

지방소득세 납부(환급)할 세액 - 금액

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금액만큼 환급받는다는 말이지요.

1 에 해당사항의 10%가 지방세인데요

1은 보통 빠르면 6월말, 2는 7월말 쯤에 입금되는 것 같아요.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중간에 캡쳐를 못떠서 아쉽다는.

 

 

'Graduate School > +Graduate Sch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holarship  (0) 2014.05.19
블로그 이미지

Ddungi

언어 배우기가 취미인 뚱이 지금까지 할 수 있는 대략 6개 Here's the video to introduce myself. https://www.youtube.com/channel/UCb5bAyPokVJ-rkIIDjmt0Tg

,




1. Econometric Software Links Econometrics Journal

http://www.feweb.vu.nl/econometriclinks/software.html

2. List of Free Statistical Software

http://l-lists.com/en/lists/dz3a5t.html

블로그 이미지

Ddungi

언어 배우기가 취미인 뚱이 지금까지 할 수 있는 대략 6개 Here's the video to introduce myself. https://www.youtube.com/channel/UCb5bAyPokVJ-rkIIDjmt0Tg

,



컴맹에 가까운 내가,

논문을 쓰면서 사용해야 하는 프로그램이 리눅스 기반이라

Python을 배워야하게 됐다.

윈도우 기반으로 만들어져 있는 Biogeme을 사용하려고 했는데, 프로그램을 리눅스 기반으로 만들다 보니

다양한 모델은 윈도우에서 지원이 안되는거다!!!

아래는 왕초보인 나도 쉽게 따라할 수 있게 되어있는 Python 안내 블로그  


wikidocs.net/51

https://wikidocs.net/29


그리고 아래는 Python 공식 홈페이지


https://www.python.org/


세계에서 가장 많은 파이썬 사용자들이 이용한다는 튜토리얼 사이트


http://www.pythontutor.com/visualize.html#mode=edit



--------

'Coursera'는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는 사이트다.

(아마도)현재 가장 많은 공개강좌를 보유하고 있으며, 일정 금액의 돈을 내면 학점을 딸 수 있는 학기제로 운영된다.

과학, 수학, 경제, 컴퓨터 등 다양한 분야의 강의를 제공한다. 그 중에서 

나는 'An Introduction to Interactive Programming in Python'

(https://www.coursera.org/course/interactivepython)을 들으려 한다.


강좌는 9/15-11/16까지. 

잊지 말고 강좌 신청하기!!


**대표적인 개방형 온라인 강좌 (MOOC): (에드엑스, 코세라, 유다시티)





블로그 이미지

Ddungi

언어 배우기가 취미인 뚱이 지금까지 할 수 있는 대략 6개 Here's the video to introduce myself. https://www.youtube.com/channel/UCb5bAyPokVJ-rkIIDjmt0Tg

,



예일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제공하는 공개강좌

재밌는 내용도 꽤 있고 환경재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기초적인 아이디어와 기본적인 방법론을 가르친다.


http://environment.yale.edu/TEEB



블로그 이미지

Ddungi

언어 배우기가 취미인 뚱이 지금까지 할 수 있는 대략 6개 Here's the video to introduce myself. https://www.youtube.com/channel/UCb5bAyPokVJ-rkIIDjmt0Tg

,
블로그 이미지

Ddungi

언어 배우기가 취미인 뚱이 지금까지 할 수 있는 대략 6개 Here's the video to introduce myself. https://www.youtube.com/channel/UCb5bAyPokVJ-rkIIDjmt0Tg

,


패널데이터(Panel Data)는 패널(Panel)이라는 원래 영어 뜻처럼 널빤지처럼 

직사각형 모양으로 데이터가 구축돼있다.

패널데이터는 각 국가나 지역 혹은 개인에 대해서 동일한 항목을 

다년에 걸쳐서 조사하여 구축한 자료이다. (동일한 집단을 반복해서 조사함)

쉽게 말하면(?) 횡단면 자료(Cross-sectional Data)와 시계열자료(Time series Data)를

붙여놓은 형태이다. 두 자료의 장점은 살리고 단점은 보완하는 효과가 있다.

동일한 표본을 다른 시점 별로 추적해가면서 자료가 기록되기 때문에 개인에 대해 좀 더 정확한 변동(Variation)을 얻을 수가 있다.


패널분석 모형(Pooled OLS, between estimator, 고정효과(fixed effect)모델과 확률효과(random effect)모델에 대한 이야기와 무엇을 언제 쓸 것인지 등등의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는 나중에 다시 하기로 하고 데이터에 대한 이야기를 먼저 하자면. 

패널데이터는 구축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든다.

그도 그럴 것이 동일한 대상을 다년에 걸쳐서 조사하다보면 천재지변이나 개인사정 등 다양한

이유 때문에 missing data가 생긴다.  이를 감안해서 많은 수를 조사대상에 포함시키면 

비용은 늘어날 수밖에 없다.

(참고로 통계조사를 할 때 '비용'은 통계조사원을 교육시키는 것과 임금, 그리고

이들의 이동이나 조사용지 그리고 코딩에 필요한 인원에 대한 인건비 등 다양한 요인에서 발생한다.)


아래는 대표적인 패널데이터 중 하나인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에서 조사설계를 하는 방식이다.



굳이 왜 패널데이터를 구축하는냐하는 의문이 들 수 있다.

이유는 간단하다. 횡단면자료에 비해서 패널데이터가 가진 장점 때문이다.

횡단면 자료로 회귀분석을 하면 개인의 특성이 반영되기 어렵다.

좀 더 통계적인 용어로 말하자면, 개인의 관측되지 않은 이질성(unobserved heterogeneity)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개인의 미관측 이질성이 종속변수에 큰 영향을 주는 경우 이질성 편의(heterogeneity bias) 혹은 생략된 변수에 의한 편의(omitted variable bias)에 대한 우려를 줄여준다.


또한 횡단면자료의 시계열 집적으로 표본의 크기가 커지면서 자유도가 높아져서 추정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가설검정은 그 유명한 '하우즈만 검정(Hausman Test)'를 시행한다. 

고정효과와 임의효과 중 어떤 모델을 선택할 것인지 테스트를 시행한 후에 Hausman 검정량이 크면, 

고정효과모델이 더 적합하다.



글을 가져가시려면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시고, 댓글에 남겨주세요:D


'Graduate School > +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nel Data2  (0) 2014.05.21
Statistical Data  (0) 2014.05.21
블로그 이미지

Ddungi

언어 배우기가 취미인 뚱이 지금까지 할 수 있는 대략 6개 Here's the video to introduce myself. https://www.youtube.com/channel/UCb5bAyPokVJ-rkIIDjmt0Tg

,



패널 조사명

운영기관

관련 정부부처

한국청소년패널조사
(KYPS: Korea Youth Panel Survey)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

국가청소년 위원회

한국교육종단연구2005
(KELS 2005: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인적 자원부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
(KEEP: Korea Education & Employment Panel)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교육인적 자원부

청년패널조사 (YP: Youth Panel)

한국고용정보원

노동부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
(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한국고용정보원

노동부

여성인력패널조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가족부

고령화연구패널조사
(KLoSA: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부

장애인고용패널조사

한국장애인고용 촉진공단

노동부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육아정책개발센터

여성가족부

인구패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부

여성가족패널조사
(KLoWF: Korea Longitudinal Survey of Woman & Family)

한국여성정책 연구원

여성가족부/ 노동부, 보건복지부

한국복지패널조사연구
(KoWePS: Korea Welfare Panel Study)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보건복지부

한국의료패널
(KoHPS: Korea Healthcare Panel Study)

한국보건사회 연구원

보건복지부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KReIS: 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국민연금관리공단

보건복지부

사업체패널조사(WPS: Workplace Panel Survey)

한국노동연구원

노동부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
(HCCP: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노동부,  교육인적 자원부


글을 가져가시려면 출처를 반드시 밝혀주시고, 댓글에 남겨주세요:D



'Graduate School > +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nel Data1  (0) 2014.05.22
Statistical Data  (0) 2014.05.21
블로그 이미지

Ddungi

언어 배우기가 취미인 뚱이 지금까지 할 수 있는 대략 6개 Here's the video to introduce myself. https://www.youtube.com/channel/UCb5bAyPokVJ-rkIIDjmt0Tg

,


나는 경제학 중에서도 응용경제학을 전공하고 있기 때문에 'empirical work'을 주로 한다.

일반 이론경제학 전공하는 학생이 하는 일이나 공부와는 성격이 조금 다르다.


연구를 진행할 때는 주제에 맞는 데이터 수집이 첫 번째 할 일이다.

각종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를 정리해보자.

(p.s. 아래 통계자료에 대한 정보는 다른 분이 모은 자료와 제가 가진 출처를 모은 것 입니다.)


[국내사이트]

1.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통계청 및 각 시도청의 통계 자료 검색 용이. 모든 분야의 통계 자료를 보유


1-1.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http://ecos.bok.or.kr)

-거시경제데이터 보유


2. 통계청 (http://kostat.go.kr)

-통계 안내, 통계 간행물, 통계 조사, 그래프로 본 한국, 통계 데이터베이스 등 제공


3. 농림축산식품 통계 (http://goo.gl/bexbMK)

-농림축산식품부의 통계작성기관별 검색 링크 : 통계청, 농협,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수산유통공사 등의 자료 링크


4. 농림수산식품 R&D통합정보서비스 (http://www.fris.go.kr)

-농림수산식품 R&D Hub FRIS(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D Information Service)


5. 산업연구원 산업통계 (http://www.istans.or.kr)

-산업의 흐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산업통계. 등록된 콘텐츠 2098건(2014년 5월 현재)


6. 한국갤럽 (http://www.gallup.co.kr)

-조사 전문회사, 마케팅, 사회여론 등 조사 프로그램 안내, 조사 자료모음 제공


7. 특허청 (http://www.kipo.go.kr)

-지적 재산과 산업 재산권에 대한 통계 자료 제공


8. 매경리서치 (http://www.c-news.co.kr)

-각 업종별 상품별 브랜드의 선호도·인지도·만족도 순위 자료 제공


9. IT통계 포털 사이트(http://www.iti.or.kr)

-한국 정보통신산업협회에서 만든 IT관련 생산·수출입·인력 등 기초적인 통계에서 부터 세부적인 관련자료까지 체계적으로 정리, 다양한 3차원 그래프를 곁들여 알기 쉽게 제공


10.  IT 통계 포털 사이트 (http://www.iti.or.kr/)

-한국 정보통신산업협회에서 만든 IT 관련 생산ㆍ수출입ㆍ인력 등 기초적인 통계에서 부터 세부적인관련자료까지 체계적으로 정리, 다양한 3차원 그래프를 곁들여 알기 쉽게 제공


11. 한국 금융 연구원 (http://www.kif.re.kr/)
-한국 경제 지표와 금융에 관련된 통계 자료 제공


12. 인터넷 통계 정보검색시스템 (http://isis.nida.or.kr/)
-인터넷에 관련된 국내외 통계 자료 제공(무료)


13. 인터넷 마케팅 통계 센터 (http://www.marketcast.co.kr/)
-인터넷 마케팅, 광고, 전자상거래, 인터넷 비즈니스에 관련된 통계 자료 제공


14. 삼성 경제 연구소 소비자 실태조사 (http://www.seri.org/)
-경제 동향, 경제 통계, 소비자, 태도 조사 등 삼성 경제 연구소 연구 결과 자료


15. i-biznet 인터넷 통계 (http://www.i-biznet.com/)
-사용자수 통계, EC 통계, 광고 통계, 트래픽 통계, 사용자 특성 분석, 웹 브라우저, 웹 서버 통계


16.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http://www.ksdc.re.kr/)
-국내외 통계자료, 국내여론조사자료, 통계항목 검색서비스 제공


17.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bok.or.kr/)
-통계검색, 증감률 계산, 생산자, 수출입물가지수 및 검색결과 다운로드 제공.


18. 인구통계 (http://www.census.gov/main/www/popclock.html)
-세계 인구 실시간 통계 수록.


19. 노동통계정보시스템 (http://laborstat.molab.go.kr/)

-노동통계소개, 보도분석자료, 임금구조 기본, 기업체노동비용 등 조사통계 자료 수록.


20. 통계박사 (http://tongtong.tnaru.net/)
-논문 통계 분석 전문업체, 학술연구, 통계상담, 통계교육 등 업무 안내.


21. 국토해양통계통계누리 (http://stat.mltm.go.kr/)
-국토해양통계 제공 사이트, 국토, 해양, 주택, 교통, 항공 등 통계 자료 제공.


22. 한국바송광고공사 광고통계시스템 (http://adstat.kobaco.co.kr/)
- 정보시스템 소개, 사업체매출, 거래트래픽, MCR미디어 통계 등 서비스 안내.


23. 한국관세무역개발원 무역통계서비스 (http://trass.kctdi.or.kr/)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운영, 무역통계, HS정보, 수출입통계, 수출입실적증명서 등 제공.


24. 환경부 환경통계포털 (http://stat.me.go.kr/)
-환경부 환경통계 정보서비스, 분야별, 등록순위, 검색순위별 통계, OECD 환경지표 제공.


25.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 (http://www.kesis.net/)
-에너지 정보, 통계 포털 사이트, 해외에너지통계, 유관기관, 이용사례 등 수록.


26.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http://goo.gl/2hPf68)
-보급통계, 데이터분석 등 안내.


27. 소재종합정보통합시스템 (http://www.matis.or.kr/)
-한국부품소재산업진흥원 운영 솔루션, 특허, 표준화, 통계, 연구개발정보 등 제공.


28. 한국정보통계인포나라 (http://www.infonara.kr/)
-입찰 정보 사이트, 용역, 구매 등 공공기관 입찰 정보 제공.


29. 온실가스배출량 정보시스템 (http://geis.kemco.or.kr/)
-기후변화 협약, GEIS 소개, 배출량 계산, 통계분석, 해외배출량 가이드라인 안내.


30. 관광통계-한국관광공사 (http://korean.visitkorea.or.kr/) , 관광지식정보시스템 (http://www.tour.go.kr/)
-월별, 국가별 통계자료 수록, 관광시장 정보, 관광법령 등 정보 제공.


31. 중소기업통계 (http://stat.kfsb.or.kr/)
-중소기업 기술통계 및 임금실태조사, 월별동향, 통계 법률, 용어 수록.


32. 한국교육개발원 취업통계시스템 (http://swiss.kedi.re.kr/)
-취업률 조사 전문기관, 업종별, 지역별 취업현황, 학과별 순위, 취업률 비교 안내.


33. 통계지리정보 (http://kogis.nso.go.kr/)
- 시, 도별 국토, 기후, 인구, 재정, 재해 등 통계지리정보 제공.


34. 어업생산통계시스템 (http://fs.fips.go.kr/)
- 행정구역, 어법, 품종별 어업생산통계 자료 수록.


35. 사업체기초통계조사 (http://www.nso.go.kr/eb/)

-통계청 사업체기초통계조사, 부서소개, 통계작성절차, 표준산업분류 검색 등 제공.


36. 논문통계정보 (http://www.rsinfo.co.kr/)
-논문자료 제공업체, 통계 분석, 리서치, 영작, 번역, 논문 복사 등 서비스 안내.


37. NTIS 과학기술 통계서비스 (http://sts.ntis.go.kr/index.jsp)
- R&D 관련 투자현형과 성과. 인력정보 등 과학기술과 관련한 각종자료 제공


38. 산림청 통계 (http://goo.gl/I0bEO5)

-산림기본통계, 병해충발생통계, 임산물수출입통계, 임가경제통계, 임산물생산비, 임업통계연보 등



[해외 사이트]

1. Internet.com의 Cyberatlas (http://cyberatlas.internet.com/)
-인터넷과 관련된 다양한 최신 통계를 뉴스 형태로 제공(무료)


2. Forrester Research (http://www.forrester.com/)

-인터넷 비즈니스에 대한 통계와 자체 분석 자료 제공(유료)

3. Grunwald (http://www.grunwald.com/)
-인터넷과 컴퓨터에 대한 통계 자료 제공(무료)

4. Jupiter Communications (http://www.jup.com/)
-인터넷 및 정보 기술에 대한 정보, 기업의 정보 활용 전략 제공(유료)


5. Internet Society (http://www.isoc.org/)
-인터넷과 관련된 각종 통계 정보 제공


6. IDC (http://www.idc.com/)
-인터넷과 IT에 관련된 통계와 분석 자료


7. 미국 농무부 경제연구소 (http://goo.gl/AnkiW8)

-미국 농무부 경제연구소(USDA ERS)가 전세계 많은 국가들의 농업생산성 지표를 구축하여 DB화하고 분석



'Graduate School > +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nel Data1  (0) 2014.05.22
Panel Data2  (0) 2014.05.21
블로그 이미지

Ddungi

언어 배우기가 취미인 뚱이 지금까지 할 수 있는 대략 6개 Here's the video to introduce myself. https://www.youtube.com/channel/UCb5bAyPokVJ-rkIIDjmt0Tg

,



인문사회계대학원생은 이공계대학원생이나 학부생보다 장학금 받기가 쉽지 않다.

내가 대학원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가장 고민했던 부분은 학비 문제다.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공부를 못한다면 안타깝지 않은가...방법은 의외로 많았다.)

부모님께는 당당하게 학비를 스스로 부담하겠다고 말했지만 

사실, 한학기에 320만원 정도를 4번 납부하는 일은 부담스럽고 막막했다. 

(K대 등록금은 550만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너무 큰 금액이다.)

방송국에서 일하면서 번 돈을 첫학기에 입학금과 등록금+기숙사비로 낼 때는 손이 떨렸다.



그렇다면, 인문계 일반대학원 대학원생은 학비를 어떻게 해결할까.

1. 조교나 근로장학생으로 근무 혹은 과외비로 충당하는 경우

-이 경우 본인의 공부할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무척 힘들다. 

2. 성적 장학금을 받는 경우

-전공 특징에 따라 다르겠지만, 대학원에서 성적우수 장학금을 전액으로 주는 경우는 거의 없다.

////결국, 차액에 대해서 고민해야 함.

3. 외부 장학재단의 장학금

-입학하기 전에 많이 알아봤던 건데, 외부 장학재단은 요구조건이 까다롭고 선발인원이 적다.

////특히, 이공계에 집중돼있음.

3. 한국장학재단의 '국가연구장학생'

-의외로 이걸 잘 모르는 사람이 많은 것 같다. 자연계나 이공계만 연구장학생 대상이 아니다.

인문사회계는 따로 T/O가 있어서 신청시기를 잘 맞춰서 자기소개서와 학업˙연구계획서를 잘 써 낸다면 기회가 있다. 단, 대상자가 석사의 경우 2,3학기이므로 첫 학기에 장학금을 받을 수는 없다. 

아래는 올해 한국장학재단(http://www.kosaf.go.kr)의 '국가연구장학생'프로그램 일정이다.

(작년까지는 장학재단에 학생이 직접 신청하고 심사받는 형식이었지만 올해부터 시스템이 바꼈다.

재단에서 각 대학별로 T/O를 정해주면 학생이 학교에 신청해서 학교내에서 심사받게 됐다.

특정학교에 장학금이 몰렸기 때문인지, 장학금 규모를 줄였기 때문인지 이유는 모르겠다만...)







'Graduate School > +Graduate Schoo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 2015년 대학원생 세금환급  (0) 2015.05.06
블로그 이미지

Ddungi

언어 배우기가 취미인 뚱이 지금까지 할 수 있는 대략 6개 Here's the video to introduce myself. https://www.youtube.com/channel/UCb5bAyPokVJ-rkIIDjmt0Tg

,